Today's

길을 나서지 않으면 그 길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을 만날 수 없다

그냥글쓰기

Eclipse에서 서버 실행 시 힙 메모리 설정 및 Tomcat 로그 파일 저장 방법

Billcorea 2025. 2. 13. 15:41
반응형

## Eclipse에서 서버 실행 시 힙 메모리 설정 및 Tomcat 로그 파일 저장 방법


서울 날씨



### 1. Eclipse에서 힙 메모리 설정 방법

서버 실행 시 힙 메모리 용량을 설정하여 Eclipse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힙 메모리 용량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:

#### 1.1 `eclipse.ini` 파일 수정

1. Eclipse가 설치된 폴더에서 `eclipse.ini` 파일을 엽니다.
2. `-Xms` 옵션으로 최소 힙 메모리 크기를, `-Xmx` 옵션으로 최대 힙 메모리 크기를 설정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:
   ```ini
   -Xms512m
   -Xmx2048m
   ```

#### 1.2 Run Configuration 수정

1. Eclipse에서 실행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, `Run Configurations`를 엽니다.
2. `Arguments` 탭에서 `-Xms`와 `-Xmx` 옵션을 추가합니다.

#### 1.3 힙 메모리 확인

1. `Window > Preferences > General`에서 `Show heap status` 옵션을 체크하여 힙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### 2. Eclipse에서 Tomcat 로그를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

Tomcat의 로그를 파일로 저장하여 나중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로그를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:

#### 2.1 Run Configuration 설정

1. Eclipse에서 실행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, `Run Configurations`를 엽니다.
2. `Common` 탭으로 이동합니다.
3. `Standard Input and Output` 섹션에서 `File` 옵션을 체크하고, 로그 파일의 경로와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.

#### 2.2 Tomcat 설정

1. Tomcat의 `conf` 폴더에 있는 `logging.properties` 파일을 수정하여 로그 파일의 위치와 형식을 설정합니다.

#### 2.3 서버 재시작

설정을 저장한 후, Tomcat 서버를 재시작합니다.

### 3. Eclipse에서 로그 출력 파일로 저장하고 콘솔에는 나오지 않게 하기

1. Eclipse에서 실행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, `Run Configurations`를 엽니다.
2. `Common` 탭으로 이동합니다.
3. `Standard Input and Output` 섹션에서 `File` 옵션을 체크하고, 로그 파일의 경로와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.
4. 설정을 저장한 후, 서버를 재시작합니다.

이 방법으로 로그 출력이 파일로 저장되고 콘솔에는 출력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. 적절한 설정으로 로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세요!

반응형